한국콘텐츠진흥원 아카데미 수강 강의 복습용 요약포스트입니다.
http://edu.kocca.or.kr
디지털 영상 색 보정
Color 기본이론 3
1. 색의 대비
나란히 배열된 색들은 서로 상대방에 영향을 주거나 시각적으로 혼합되어 원래의 색채와 다르게 지각되는데
이런 현상을 색의 대비(color contrast)라고 합니다.
색의 대비는 시간차에 ‘동시대비(simultaneous color contrast)’와 ‘계속대비(successive color contrast)’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동시대비는 시차 없이 두 색을 동시에 보았을 때 서로의 색이 영향을 받아 달라 보이는 효과를 말합니다.
또한 인접한 색에 의해 실제 색에 변화를 느끼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색의 대비 대부분이 이에 속합니다.
색의 3속성 중 두드러진 속성에 따라 색상대비, 명도대비, 채도대비로 분류합니다.
이외에도 보색, 면적, 한난 등이 있는데 이러한 여러 대비는 인접한 색상에서 거의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레드 바탕의 마젠타는 바이올렛-블루, 블루 바탕의 마젠타는 레드에 가깝게 느껴집니다.
그리고 옐로우 바탕의 오렌지는 붉게, 레드 바탕의 오렌지는 더 노랗게 느껴집니다.
앞서 말했다시피 근접하는 두 가지 이상의 색이 서로 대립되어 색상 차가 크게 느껴지는 현상을 볼 수 있고,
이러한 현상은 명도와 채도가 비슷할수록 원래의 색상보다 색상 차가 크게 나타납니다.
또한 색상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나며, 색상 차가 커질수록 보색대비에 가까워집니다.
밝은 색은 더 밝게, 어두운 색은 더 어둡게 느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우리 눈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그림처럼 노란색 원은 모두 같지만 무채색 배경이 어두워질수록 더 밝고 선명해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색 대비로 푸른배경 위의 장미꽃이 노란배경 위의 장미꽃보다 더 자극적이고 선명해보입니다.
또한 보색으로 대비된 색들은 영상에서 잔상효과와 바이브레팅효과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여기서 잔상효과란 색 자극으로부터 멀어질 때 색이 진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고,
바이브레팅효과란 이미지가 약간 겹쳐 보이는 현상으로 두 효과는 영상을 보는 이들에게 불편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같은 색이라도 면적이 크고 적음에 따라 명도와 채도가 다르게 보이는 현상으로
큰 면적의 색은 실제보다 명도와 채도가 높아 보입니다.
그러므로 작은 견본으로 큰 면적의 색을 고를 때 원하는 샘플보다 약간 어둡고 탁한 색을 골라야 합니다.
연변대비는 인접한 경계 면이 다른 부분보다 더 강한 색상, 명도, 채도 대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맞닿아 있는 면은 물론이고 떨어져 있는 면들에서도 상호 영향을 미치는 대비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런 문제들은 색상차이나 명도차이가 크게 대비된 가느다란 줄무늬 같은 영상에서 여지없이 문제를 일으킵니다.
계속대비는 어떤 색을 보며 자극을 받았다가 다른 색을 보았을 때 나중에 본 색이 원래와 달리 보이는 대비입니다.
빨강을 보다가 흰색을 보면 빨강의 보색인 청록색이 아주 잠깐동안 흰색에 나타나는 현상을 계속 대비라고 합니다.
이는 눈의 색순응기능 즉 특정색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때
그것과 동일한 색을 무채색으로 느끼게 되어 같은 색을 다르게 지각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시각기관이 평행상태를 이루기 위해서 생긴 잔상현상 중 하나입니다.
계속대비는 장면 대 장면의 색의 보정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합니다. 비디오에 있어서는 특히 중요합니다.
앞뒤컷의 색이 너무 대비가 심하면 프리커같은 느낌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이렇듯 인접한색으로 색은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주변색으로 색을 다르게 느끼는 색의 대비현상은 색 보정 작업에서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장면과 장면의 연결에서 이미지 배경의 전후관계는 다른 장면에 인접한 색으로 인해
색이 전혀 달라 보이기도 할 것이며 또한 다른 배경의 색이 동일한 색을 달라 보이게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색의 대비 중 계속 대비되는 장면 대 장면의 색의 보정에서 대단히 중요합니다.
'postProduc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비드 리링크방법 avid EDL relink (0) | 2013.07.26 |
---|---|
디지털 미디어 포맷과 워크 플로우 - 2. 포맷의 주제 (0) | 2013.05.31 |
디지털 영상 색 보정 – 03. Color 기본이론2 (0) | 2013.05.17 |
디지털 미디어 포맷과 워크 플로우 – 1. 포맷의 등장 (0) | 2013.02.12 |
디지털 영상 색 보정 - 02. Color 기본이론1 (0) | 2013.02.08 |